밑의글에 다이어게이지에 관한 질문이 있어 간단하게 답변한다는게 너무길어져 따로 간단하게
정리해 봤습니다. 아시는분도 계시겠지만 모르시는분들은 참고해 보세요
기본적인 것은 제외하고 조금 생소한 부분만 간단하게 생각나는 데로 적어봤습니다.
조금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한 분은 튜닝정보에 일부 내용을 올린게 있으니 읽어보세요
그리고, 혹시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답글로 지적 부탁드리고요 ~~
부하연산값 : 엔진부하량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악셀을 밟으면 올라가겠죠?? 또한 에어콘, 헤드라이트 등의 부하도
같이 측정됩니다.제차의 아이들링 부하연산값은 18~19% 정도 됩니다. 비슷한 조건에서 부하연산값을 차이를 비교해 보면
차의 출력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저단의 고알피엠보다 고단의 저알피엠에서 엔진에 부하가 더 걸릴 수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을 겁니다. 따라서 엔진에 걸리는
부하를 통해 엔진의 피로도를 파악하시면 되겠네요..
냉각수온 : 말 그대로 냉각수 온도입니다. 엔진이 뜨거워진 후 적정 수준은 80~100도 정도이며 여름에는 더 올라가겠죠??
그리고 냉각수온도가 70도 이하에서는 연료맵은 start fuel map 이라는 다른 맵을 씁니다. 정상맵보다는 저알피엠에서 연료를
조금 더 넣게 셋팅되어 있고요
단기연료보정 : 순간순간 연료를 보정해 주는 값을 말합니다.
폐회로구간(closed loop)에서 공연비를 14.7:1 로 보정해주는 것입니다. 폐회로 구간은 보통공기량이 600 mg/c 이하로 들어가는
구간으로 공기가 급격히 들어가지 않는 곳이며 연료량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는 구간입니다. 편차는 조금 있지만 600 mg/c 이
상의 구간은 개회로구간으로 연료보정은 이루어지지 않으며 주어진 세팅으로만 공연비가 결정됩니다.
참고로 폐회로구간 내에서도 가속을 하면 연료보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연료맵에 세팅된 값으로 공연비가 제공이되며 다이어게이
지상으로는 OLDrive (open loop drive) 로 표시됩니다.
장기연료보정: 단기연료보정으로 학습된 연료값을 일정시간(조건)이 지나 전체 연료맵에서 연료량을 조절하는 것입니다.
장기연료보정값은 아주 천천이 바뀝니다.
이 보정값은 아주 중요한 내용으로 어떤 하드웨어 또는 맵핑에 문제가 있어 연료를 적게 또는 많게, 공기량이 적게 또는 많게 들어
가는 경우 장기연료보정값은 정상수준을 벗어나게 됩니다. 예를들어 장기연료보정값이 –10% 가 된다면 연료를 10% 적게 공급하
게 됩니다.
따라서 고알피엠 고부하 지점에서 엔진의 열이 많이 올라가서 위험해 질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10% 가 된다면 필요없는 연료가
10% 더 들어가게 되어 출력도 연비도 나빠지겠죠?
정상적인 범위는 –2% ~ 3% 정도이지만. -5% ~ 7% 사이면 큰 문제는 없을 것 같습니다.
흡기압( kpa) : 흡기압력을 말하죠.. 부스트압으로 환산하실 수 있습니다
만약 100kpa 라면 0 bar입니다. 200은 1바가 되겠죠?? 240 = 1.4바 ..
이런식으로 100으로 나누고 –1을 하시면 부스트 압을 알 수 있습니다.
1번실린더점화진각 : 점화각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점화시기를 세팅해둔 맵에 의한 값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 항목에
서 주의해야 될 점은 혹시 “-” 값이 특정 RPM 이후에 계속 뜬다면 잦은 노킹으로 인해 인위적으로 ECU에서 점화를 지각시킨 것
입니다. 이 경우 점화시기의 지각으로 인해 출력이 떨어지고 연료소모가 많아지며 배기온도는 올라갑니다. 물론 노킹을 방지하기
위한 의도적 지각이고요. 큰 문제가 없다면 ECU 리셋 시키면 됩니다만 경고등이 뜨거나 이런 경우가 반복된다면 점검을 받으셔야
됩니다.
흡기온 : 말 그대로 흡기의 온도.. 일반적으로 60도 이상이 되면 ECU에서 부스트를 뺍니다. 인터쿨러를 달거나 용량을 키우
면 흡기온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흡기량센서 : 트로틀바디로 들어오는 흡기량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보통 4단 풀악셀 후 5단으로 넘어가는 시점에서 가장
많은 흡기공급이 됩니다. 이 지점에서의 흡기량을 체크해서 최대 흡기량을 체크해 보세요.. 흡기량은 토크 (마력) 과 직결되는 중
요한 부분입니다.
스로틀포지션절대값 : 스로틀밸브의 열림각을 나타냅니다.. 얼마만큼 악셀을 밟았는가를 나타내는것이죠.. 주의할
점은 스로틀바디열림에 문제가 있거나 센서이상, 악셀케이블이 너무 타이트하거나 느슨할 때 이 절대값은 평소와 다르게 됩니다.
평소에 한번씩 체크해보세요
산소센서 B1S1 : 촉매 앞의 산소센서, 제 차의 경우 아이들링시 0.1 ~ 0.8V 사이에서 움직입니다. 주로 0.6V~0.7V .. 뒤
에 나오는 B1S2센서와 함께 배기중의 산소농도를 검출하고 ECU로 피이드백해서 공연비를 컨트롤 합니다. 단기연료보정값도 이
데이터에 의해 생성되어 집니다
[참고] B1S1 판정방법
# 0.15 ~ 0.9V 반복 변화하는 경우 10초에 5회이상 반복이면 정상, 5회 미만이면 산소센 서 노후로 판단
# 0.1V 미만에서 변화하는 경우 수차례의 급가속 반복후 0.8V 까지 변화하면 정상, 그렇지 않으면 연료나 흡기누설 점검후 이상
없으면 산소센서 단락점검
# 0.1 ~ 0.5V 에서 변화하는 경우 연료나 흡기계통 누설 점검후 이상 없으면 산소센서 배선, 단품 점검
# 0.5~0.9V 에서 변화하는 경우 PCV, EGR, 인젝터 소착, 배선 단락 점검
# 2V 이상 출력 시 티타니아 타입은 정상, 지르코니아 타입은 전원 및 출력선 점검
산소센서 B1S2 : 촉매 뒤에있는 산소센서 .. 촉매를 통과한 배기의 산소를 볼트값으로 측정합니다. 제 차의 경우는 아이
들링시 0.1V ~ 0.7V 정도로 움직이며 주로 0.1V ~ 0.12V 입니다
[참고] B1S2 판정방법
약 0.6V 에서 고정되어 있는 경우 정상
0.1V 부근에서 변화하는 경우 수차례의 급가속 반복후 0.8V 까지 변화하면 정상, 그렇지 않 으면 촉매 및 배기관 누설 점검후 이
상 없으면 산소센서 단락점검
0.7V 이상에서 변화하는 경우 점화장치, 각센서, PCV계통, EGR계통 점검
0.5V 미만에서 출력되는 경우 ECU는 과잉 산소로 인한 질소산화물 과다 배출로 판정
0.7V 이상에서 출력되는 경우 실화나 각센서 문제로 혼합기 농후로 인한 촉매의 열화로 판정
'SAAB' 카테고리의 다른 글
9-5 에어로 12년 12월 dyno graph (0) | 2012.12.15 |
---|---|
[스크랩] 참고 : DIC (direct ignition cassette) 에 관해 (0) | 2012.10.30 |
[스크랩] SRAM data 추출 후 맵 조정 [노킹관련] (0) | 2012.10.04 |
Fuel Injector Duty Cycle Calculator (0) | 2012.09.24 |
[펌] 인젝터 업그레이드 및 사이즈 계산 법 [injector duty cycle] (0) | 2012.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