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下)를 붙이는 것은 일종의 존칭이다. 윗사람에게 바로 맞대고 말하는 것은 예의가 없다 하여서 하를 붙이는 것이 유교적 관습이다.
그리하여 왕족이나 귀족을 부를 때 쓰는 호칭은 다음과 같다.
폐하(陛下) : 황제, 상황(은퇴한 황제) = Your Majesty
전하(殿下) : 왕, 황태자, 태후, 황후 = Your Highness
저하(邸下) : 왕세자, 왕세자비
합하(閤下) : 왕세손, 대원군, 정 1품 관리
당하(堂下) : 정 3품 관리
각하(閣下) : 백작, 대통령(현재)
그리고 기타 하가 붙는 것들은 아래와 같다
예하(猊下) : 고승
성하(聖下) : 교황
이런 것 말고 편지에 쓰는 귀하나 좌하, 그리고 족하(足下) 등도 같은 맥락에서 사용되는 단어들이다.
족하는 비슷한 연배 사이에서 상대를 높여 부르는 말이라고 한다.
(조카의 원형 족하는 族下이다)
옛날의 건물은 위로부터 전(殿), 당(堂), 합(閤),각(閣), 제(齊), 헌(軒), 루(樓), 정(亭)의 8품계로 나뉘어졌다.
여기서 나온 말이 전하, 당하, 합하, 각하이다.
대통령이 현재 각하로 불리긴 하는데, 나라의 지도자 자리인데도 장관급에게 붙던 호칭인 각하가 붙는다는 것은 사실 상 격에는 맞지 않는다고 할 수 있겠다.
# 추가 상세
https://m.blog.naver.com/berliner6/222269985007
'펌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双调·沉醉东风】(쌍조·침취동풍) (0) | 2023.06.27 |
---|---|
시운(時運) 과 천명(天命) (0) | 2023.04.14 |
상진황축객서(上秦皇逐客書) - 이사(李斯) (0) | 2020.02.10 |
不孤 (0) | 2020.02.10 |
만족과 행복 (0) | 2020.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