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 서울 출장길에 고속도로 주행중 갑자기 출력이 떨어지는 경험을 하였다
그때 온도는 36~37도.. 흡기온도는 악셀을 밟으면 60 ~ 70도 까지.. 엄청남..
출력이 떨어지는 원인을 탐색 시작..
1. 일단 출력이 떨어지는 데도 불구하고 배기온은 상승
2. 점화시기는 4000rpm 이상에서 -5도..
3. 부스트는 지속적으로 잡고 감..
결론은 고온 건조에 의한 엔진과열... 참고로 배기온과 엔진열은 구분이 필요
노킹으로 인한 점화시기 지각됨으로 판단..
ECU를 리쎗시키고 난 후 점화시기는 적정상태로 ..
노킹은 여러 구간에서 발생합니다.. 그 횟수는 누적 카운트되고 그 누적된 것들이
점화시기의 학습을 통해 점화를 단계적으로 지각을 시켜 엔진을 보호합니다..
점화시기가 지각이되면 지연폭발로 인해 폭발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연료가 과다 공급
됩니다.. 또한 미 연소된 혼합가스는 헤드, 실린더 밸브를 통해 배기로 나가면서 폭발이
되어 배기온의 급격한 상승을 일으키며 헤드의 내구성에도 영향을 주게 됩니다.
숙제는...
노킹이 일어나는 구간 point를 찾아 그 구간에 연료조절과 점화시기조절을 통해 노킹의
발생을 없애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점화맵의 전구간을 1도 정도 지각시켜야 하는
불합리한 방법을 사용할 수 밖에 없음..
궁하면 찾는다는 말이 있죠? 답은... SRAM
SRAM [ static random access memory ]
정적 램(SRAM)이란 플립플롭 방식의 메모리 셀을 가진 임의 접근 기억장치로서, 전원
공급이 계속되는 한 저장된 내용을 계속 기억하며, 복잡한 재생 클록(refresh clock)이
필요없기 때문에 소용량의 메모리나 캐시메모리(cache memory)에 주로 사용한다.
다행인 것은 SAAB의 ECU에 기본 맵파일과 SRAM이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주행 데이터나 또 학습되고 또 기록된 것들이 전원공급되는 동안 SRAM에 존재.
문제는 SRAM을 어떻게 빼올 수 있는가가 관건..
이씨유를 탈거하거나 베터리 전원을 떼면 SRAM data는 지워집니다..
따라서 이씨유가 꼽힌채로 자동차 배터리가 연결된채로 SRAM에 저장된 파일을 가져와야
됩니다..
여기서.. 이승열님이 이씨유를 탈거해서 맵핑툴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빼는 불편한 방식을
없애고 바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쓱싹쓱싹 뚝딱뚝딱 하여 바로 이씨유와 연결이 가능함과
동시에 기다리던 SRAM파일을 얻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물론 쉬운 작업은 아닙니다.. 연결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또한 기능들의 파악들이 ㅎ
이제 SRAM에 저장된 기록들을 아래에 올려보겠습니다..
[이부분은 다른 차량에서 빼낸 참고자료 입니다 ]
아래는 ECU에 세팅한 기본 점화시기맵과 SRAM에서 빼온 노킹카운트 입니다.
이제 파란 노킹카운트맵에 나온 숫자를 보고 그 구간의 점화시기를 일정하게 지각시키면
노킹우려는 많이 사라지겠죠?? ㅎ
불행히도 적정한 점화시기를 찾기는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노킹이 생기지 않는 곳까지
최대한 점화를 진각시킨 마지막 데이터를 찾는거라 ㅎ
또한 온도, 습도 등의 변수들이 많아 100% 완변한 점화시기는 찾는 것은 불가능..
그렇지만 바람직한 점화시기를 찾고 노킹을 방지하는 것은 쉬워질 듯 합니다.
참고로 스타트연료맵과 스타트 연료맵의 SRAM data도 올려봅니다..
이 숫자들은 어떻게 멀티플라이를 해서 조정하는지는 조금 더 연구해봐야겠습니다.
Useful SRAM symbols [참고]
AdpFuelAdap.AddFuelAdapt - Additive fulea adaption. resolution is 0.01mg/c.
AdpFuelAdap.MulFuelAdapt - Multiplicative fuel adaption. Resolution is 0.01%
BoostAdap.Adaption - Adaption value for boost control. Interval is every 100ms.
F_KnkDetAdap.RKnkCntMap - Map for saving the real knock indications.
IgnKnkAdap.fi_offsetAdap - Adaption for knock adaption per cylinder. Resolution is 0.1*
KnkAdapt.IgnOffset - Ignition offset used while knock adaption samples are smapled. Resolution is 0.1*
KnkDetAdap.KnkCntCyl - Number of knock detections on every specific cylinder. Interval is at every knock detection.
KnkDetAdap.KnkCntMap - This map includes number of knokc detections on specific load points. Interval is at every knock detection.
MissfAdap.MissfCntCyl - Number of maissfire detections on every specific cylinder. Interval is at every missfire detection.
MissfAdap.MissfCntMap - Number of missfire detections on specific load point. Interval is at every missfire detection.
'SAAB' 카테고리의 다른 글
Fuel Injector Duty Cycle Calculator (0) | 2012.09.24 |
---|---|
[펌] 인젝터 업그레이드 및 사이즈 계산 법 [injector duty cycle] (0) | 2012.09.24 |
[스크랩] [펌 : 크레이지튜너] HID의 밝기가 색온도와 비례한다? HID를 이해하고 사용하자 (0) | 2012.08.27 |
[스크랩] theft alarm 배터리 교체 (0) | 2012.08.17 |
[스크랩] OBD II 에러코드 리스트 (0) | 2012.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