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스트 = 출력 ??
일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제 조건들이 같다는 가정하에 부스트[공기압]가 높으면 공기량이 많아집니다..
그 공기량의 많고 적음이 출력을 좌우합니다.. 출력 = 공기량 입니다..
물론 공기량이 많아짐에 따라 적절한 연료공급과 폭발이 일어난다는 가정 하에서..
그럼...
부스트가 같더라도 공기량[출력]이 달라지는 조건을 보면..
1. 인테이크파이프의 내경... 트로틀로 들어가는 인테이크의 내경이 커지면 공기량[출력]은 많아진다.
2. 외부온도가 낮을때, 저기압일때 공기질량[출력]이 많아진다. {아래 참조}
3. 대용량 인터쿨러를 달아 흡기온도를 낮출때 공기량[출력]은 많아진다.. {아래 참조}
{ 아 래 }
이상기체상태방정식 : PV = mRT [아래 세법칙을 혼합] .. 같은기체의경우 몰수(n) 대신 m을 사용
[ P:압력, V:부피, m:기체의수(질량), R:상수, T:절대온도]
(1) 보일의 법칙 : 압력과 부피는 반비례한다
(2) 샤를의 법칙 : 온도와 부피는 비례한다
(3) 아보가드로의법칙 : 일정온도 일정압력에서는 일정부피에 같은수의 기체분자가 들어있다..
m = PV / RT .. 온도가 낮을수록 기체의수(질량)이 많아진다
4. RPM 에 따라 같은 부스트[압력]라도 공기량은 달라진다.
=> 인테이크파이프는 열려 있습니다.. 고 RPM으로 갈수록 흡배기 밸브가 열리는 횟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실린더밸브가
열려 있는동안에 동일한 압력을 유지시키려면 더 많은 공기를 보내야 함 [출력상승]
얼마전 서울 출장길에 다이어게이지를 보며 차량을 테스트 해보니 같은 부스트라도 기어단수별로 공기량이 달라
지고 또한 같은 RPM 구간에서의 공연비도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4단으로 돌리는 다이나모상의 공연비가 5단에서 적용될 수 없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따라서 5단의 고속
주행을 많이 하는 경우는 5단으로 다이노를 돌려 공연비를 세팅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기본적으로는 사브는 5단의 기어비가 1 : 1 인 관계로 5단에서의 다이나모 테스트가 적합하지만 고알피엠까지
써야하는 관계로 배기온, 엔진보호차원에서 4단으로 많이 하는 것으로 압니다..
그러나 5단 4500 rpm 이상을 사용하는 목적이라면 공연비 맵핑은 분명 달라져야 합니다..
위에 부스트 (공기압) = 출력 (공기량) ??
이렇게 적은 이유는 많은 분들이 아직 정확하게 모르고 계시는 분도 있을 것 같아 내용을 올렸습니다..
"내차는 1.5 바까지 쓴다.. 내차는 1.2바 까지 쓴다 .. 따라서 내차의 출력이 좋다"
막연히 이런 생각은 정확하지 않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위에 1 ~ 4 까지를 보면 같은 부스트(압력) 이라도 공기량(출력)이 다를 수 있는 요소들이 많이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위의 언급 외에도 더 있겠지만..
이제는 부스트를 볼때 단순히 몇 바 인지만 생각하지 말고 몇단, 몇 RPM 에서 그 부스트가 나오는지,
또 그 부스트를 몇 RPM 까지 유지를 하고 있는지.. 각 단수별로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 etc,
또한 인테이크 파이프 내경은 얼마인지? 흡기온도가 얼마일때 그 부스트가 뜨는지 까지 관심을 가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같은 부스트(압력)내에서 더 출력을 올리기 위해서는 인테이크내경과 온도, 공기의 빠른 유속에도 그 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공기유입 까지 고려를 해야될 것 같습니다..
게이지에 찍혀진 부스트 압 만으로 출력의 강약을 평가하는 경우가 있는 것 같아 한번 적어 봅니다.. ㅎㅎ
'SAAB'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펌 : carlife 시승기] Saab 9-5 Aero 여전히 빛나는 스칸디나비아의 별 (0) | 2012.04.05 |
---|---|
[스크랩] 나의 취미생활.. (0) | 2012.03.02 |
[스크랩] 몰락한 사브(SAAB)의 기막힌 역사① (0) | 2012.01.24 |
[스크랩] 몰락한 사브(SAAB)의 기막힌 역사 ② (0) | 2012.01.24 |
[스크랩] 몰락한 사브(SAAB)의 기막힌 역사 ③ (0) | 2012.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