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진소리로 자동차 진단하기
1. 시동시 ⓐ큐~큐~ : 벨트의 장력부족/정비소 점검후 교체요망 ⓑ끼~끼~ : 벨트의 장력부족/정비소 점검후 조정 or 교체요망 ⓒ지~이~ : 알터네이터(발전기)의 베어링불량 ⓓ고~오~ : 알터네이터(발전기)의 베어링불량 ⓔ컹~컹~ : 연료녹크로 인한소음(스파크프러그가 연료에 젖어 불꽃이 튀지 못하는 상태) ⓕ캉~캉~ : 커넥팅로드 베어링의 타음/연료의 녹크로 인한 소음예상 ⓖ캇~캇~ : 타이밍 벨트의 느슨함/장력부족 예상 ⓗ털~털~ : 센터멤버/엔진미미불량/엔진계통점화불량/연료공급불량 예상 ⓘ엔진에서 우~웅 : 워터펌프 베어링/알터네이터 베어링문제 예상
2.공회전시 ⓐ굴~굴~ : 타이밍 벨트의 장력과대(장력 재조정요망) ⓑ가~가~,골~골~ : 워터 펌프 베어링 불량 ⓒ따딱~ : 오토래쉬소음 및 캠샤프트 절손소음 예상 ⓓ끼~끼~ : 벨트의 장력부족 예상 ⓔ슈~우~ : 에어 흡입음 예상/흡기 매니폴드/에어클리너등 장착상태 점검요망 ⓕ삐~이~ : 에어 흡입음 예상/흡기 매니폴드/에어 클리너등 장착상태 점검요망 ⓖ가샤가샤 : 밸브로커암의 오일단절/오일부족/공장입고 원인 해결요망 ⓗ키~끼이~ : 밸브로커암의 오일 단절 or 오일부족/공장입고 원인 해결요망 ⓘ휘~휘~ : 아이들러 베어링 소음예상 ⓙ캇캇,탁탁 : 밸브시트부 점검 및 오토래쉬 어져스트(리후다)소음예상 ⓚ갈~갈~ : 캠샤프트 스러스트 방향유격 예상 ⓛ컷~컷~ : 캠샤프트 스러스트 방향유격/밸브시트부/오토래쉬어져스트소음/밸브로커암의 오일단절 예상 ⓜ굴~굴~ : 타이밍 벨트의 장력과대(장력 재조정요)예상 ⓝ터~얼~터~얼 : 센터멤버/엔진미미불량/엔진계통점화불량/연료공급 불량인경우 예상 ⓞ엔진에서 우~웅 : 워터펌프 베어링 또는 알터네이터 베어링 문제예상
3. 공회전 및 주행시 ⓐ딱~딱~똑~똑~ : 오토래쉬 어져스트의 작동불량 예상 ⓑ짤가닥짤가닥 : 오토래쉬 어져스트의 작동불량 예상 ⓒ키~익~키~익~ : 밸브 스템의 소음 예상 ⓓ퐁퐁퐁퐁퐁퐁 : 3번머플러변형/파손/노후로 배출가스가 틈으로 새어 나오는 소음 예상 ⓔ슈~우~슈~우~ : 엔진의 압축 불량 예상 ⓕ털털털털털털 : 센터멤버/엔진미미불량/엔진계통 점화불량/연료공급불량인경우 예상
4. 공회전시 타음발생 ⓐ킹킹(높은음) : 엔진녹킹 예상(불완전 연소) ⓑ배기머플러에서 바~앙 : 빽파이어 현상/스파크플러그 불량예상 ⓒ엔진쪽에서 바~앙 : 역화현상/점화시기불량/연료/연료혼합비불량/엔진연소실카본 때충진 ⓓ에어크리너에서 바~앙 : 역화현상/점화시기불량/밸브타이밍불량/점화시기불량 ⓔ엔진에서 우~웅 : 워터펌프 베어링/알터네이터베어링문제 예상 ⓕ엔진쪽에서 까르륵하는 소음발생(쇠망치두드리는소리) - 노킹 역화현상점화시기불량/연료불량/연료혼합비불량/엔진연소실카본충진 소리를 표현함에 있어서 이상한 소리로 표기될수밖에 없으므로 위와 비슷함은 본인의 판단
----------- ***** ------------
(1) 시동시 "컬컬컬"하는 힘겨운 소리가 날때 엔진계통에 문제가 있거나 배터리가 제구실을 못하는 경우이다. 키를 꽂고 스타터 모터를 한참 돌려야 시동이 걸리는 경우도마찬가지다. 연료장치를 점검해주고 점화플러그도 살펴봐야 한다. 점화플러그의 교환시기가 지났으면 새것으로 교환해야 한다. 배터리수명이 다 되지는 않았는지, 배터리액은 충분한지 살펴본다. 일반적으로 점화플러그는 1만-2만Km 정도 주행한 후 갈아주며 배터리는 2-3년, 거리로는 5만-6만Km 정도 달린 뒤 교환해 주면 된다.
(2) 브레이크에서 "끽끽" 소리가 날 때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정도를 체크하고 교환시기가 지났는지 살펴봐야 한다. 브레이크 패드는 앞쪽의 경우 2만Km마다한번씩, 뒷 라이닝의 경우 4만Km마다 한번씩은 갈아줘야 한다. 드럼식 브레이크를 사용한 차량은 드럼이 찌그러졌을 경우에도이상한 소리가 나므로 가까운 카센터에 가서 변형유무를 확인해야 한다. 브레이크는 운전자의 생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항상관심을 갖고 점검해야 한다.
(3) 기어변속시 "빠각빠각" 소리가 날 경우 기어변속을 할 때 톱니끼리 부딪치는 소리가 나거나 기어가 말을 듣지 않고 잘들어가지 않을 때가 있다. 이때는 클러치페달이나 기어박스가 불량일 수 있으므로 단골 정비소에서 점검을 받아야 한다. 변속기 오일이 오래돼 점도가 떨어졌을 경우에도기어가 빡빡할 수 있으므로 교환시기가 지나지 않았는지 살펴봐야 한다. 변속기 오일은 대체로 2만-4만Km 정도 주행한 후 교환해주면 된다.
(4) 주행중 요란한 굉음이 날때 엔진소리가 평소보다 클때 머플러에 금이 가거나 깨지면 요란한 굉음이 난다. 또 연결부위가 헐거워져 틈이 벌어졌을 경우도소음이 발생한다. 카센터를 찾아 머플러 상태를 점검하고 이상이 있으면 새것으로 교환해 준다. 머플러에 손상이 생겼을 경우엔자동차 배기가스가 정화되지 않은채 그대로 배출되므로 빨리 수리를 해줘야 한다. 또 연료점화시기가 맞지 않거나 엔진 베어링이 닳은 경우도 평소보다 시끄러운 소리가 난다. 이 때는 가까운 정비소를 찾아 점검을 받아야 한다. 머플러의 경우 교환시기는 일정하지 않지만, 평소에 관심을 갖고 살펴보는 것이 좋다. 특히 자갈밭같은 비포장도로를 달렸을 경우는 튀어오른 돌이나 노면에 하체가부딪쳐 머플러가 깨질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5) 제동기 [끼익] 소리가 날때 브레이크를 밟으면 [끼익]하는 소리가 날 경우에는 브레이크 라이닝의 소모와 관계가 있습니다. 라이닝 리베트의 머리가노출되어 드럼에 닿음으로써 나는 소리이거나 라이닝 표면의 이상구성 때문에 나는 소리입니다. 이 경우 라이닝의 마모된 것은 아닌지확인해야 되며 라이닝이 마모된 경우에는 반드시 교환을 해야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소리를 없애려면 라이닝이나 패스를 교환해야 됩니다.
(6) 발근처에서 [덜커덩] 소리가 날때 발근처에서 [덜커덩] 소리가 날때는 이런 소리가 남과 동시에 몸에 받는 감각적 진동이 따르는데 이것은 쇽업쇼버의 고장으로 노면의 진동을 흡수하지 못하거나 머플러(소음배관)의 밴드가 끊어진 경우입니다. 쇽업소버의 고장인 경우에는 승차감이 나쁜건 당연하며 고속으로 달리면서 핸들을 꺾을 경우나 비포장도로에서는 더욱 안정성이 없어지게 됩니다.
(7) 발근처에서 [삐걱]거리는 소리가 날때 발근처에서 [삐걱]거리는 소리가 나는 것은 서스펜션의 리프 스프링에 녹이 슬어서 나는 소리로 특히 장마철에 많이 발생하는 이상음입니다.
(8) 핸들에서 [삑삑]소리가 날때 핸들을 꺾을때마다 마치 대문을 여닫는 소리같은 [삑삑]하는 소리가 날 경우에는 핸들 자체의 고장이거나 스티어링 기어박스에서 트러블이 발생하는 소리입니다.
(9) 차밑에서 [방방] 소리가 날때 하밑(하체)에서 마치 맷돌을 돌리는 것과 같은 [방방] 소리가 날 경우에는 프로펠러 샤프트의 스플라인이 고장났거나 유니버셜 조인트의 마모에서 발생하는 소리입니다.
(10) 차밑에서 [골골] 소리가 날때 차밑, 특히 디퍼렌셜(데후)에서 [골골] 소리가 나는 경우는 디퍼렌셜 기어 톱니바퀴의 맞물림이 불량한 경우입니다.
(11) 차밑에서 [쿵쿵] 소리가 날때 차밑에서 [쿵쿵]하는 소리가 나는 것은 트랜스미션 내부 기어의 톱니바퀴에서 결함이 발생했을 경우입니다.
(12) 엔진룸에서 [휭휭] 소리가 날때 엔진룸에서 [휭휭] 소리가 날 경우에는 냉각팬의 벨트가 느슨해진 경우가 대부분으로 특히 급가속을 할 경우나 엔진시동을 처음 걸 때 발생하게 됩니다.
(13) 엔진룸에서 [찌지]거리는 소리가 날때 엔진룸에서 [찌지 찌지]하는 소리가 날 경우는 냉각팬과 다이나모의 폴리가 느슨해서 발생하는 소리입니다.
(14) 브레이크에서 쇳소리/잡음이 날땐 ① 고장발생 및 점검방법 브레이크에서 발생하는 소리는 예민한 잡음소리와 조금 둔탁한 금속음의 두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소리는 주의해서 듣지 않으면 잘 들리지 않는다. 친구나 동료에게 부탁하면 듣기 쉽다. 브레이크에서 나는 마찰음은 제동에는성능적으로 큰 영향이 없으나 운전자에게는 주행하는데 집중력을 떨어뜨린다. 이러한 소리의 원인은 브레이크 계통이 진동하는 것이라고보면 된다.
또한 탁한 금속음은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 때문에 발생한다. 브레이크액이 새지 않고도 리서버 탱크의 액면이 내려 가는 현상이있다. 이것은 브레이크액이 새는 것이 아니고 브레이크 패드가 마모되기 때문이다. 패드가 마모된 양 만큼 브레이크 액이 캘리퍼피스톤의 이면으로 들어감으로써 액면이 저하되는 것이다.
② 대처방법 브레이크에서 발생하는 소리는 패드 본래의 재질이 원인일 때가 많다. 이때에는 다른 패드와 교환하면 소리가나지 않는다. 패드의 마모로 경고하는 금속음이거나 이미 마모된 패드소리가 발생할 때에는 가급적 빠른 시간내에 패드를 교환 할필요가 있다. 만약 로터와 패드의 받침쇠가 접촉한 상태로 주행을 계속하게 되면 로토가 마모되어 리턴까지 교환해야 하는 상태가 되기도 한다. 그 복귀가 잘되게 하기 위해서는 캘리퍼의 피스톤부에 있는 로버호로가 고무실 등을 교환해 주면 된다. |
'SAAB'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Fuel system (petrol/gasoline) - Saab 9-5 (0) | 2014.04.01 |
---|---|
[스크랩] [펌] 자동차 소리로 이상진단 (0) | 2014.03.27 |
[스크랩] 자동차 차체의 구조에 대한 명칭 이해(좋은 내용같아서 퍼옴) (0) | 2014.03.21 |
[스크랩] 점화시기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 (0) | 2014.03.18 |
[스크랩] stage1 은 어떻게 만들어 지는가? (0) | 2014.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