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AAB

[스크랩] stage1 은 어떻게 만들어 지는가?

by dude C 2014. 2. 26.

가장 효과적인 튜닝인 stage1 에 대해 조금 적어보겠습니다.

 

stage1은 기존 하드웨어로 출력을 올리는 것입니다..  stage 중 가장 저렴하고 효과적인 단계입니다.

 

제일 추천드리는 ECU 튜닝이고요..  여기서 흡기 스포츠 필터만 하나 다셔도 좋습니다.

 

 

 

아래의 "예"는 작년 남쪽지방의 박OO님의 2006년 9-5 리니어 stage1 작업내용을 중심으로 적겠습니다.

 

순    정 : 150 마력... 24.5 토크

 

stage 1 : 230 마력...  38 토크    

 

80 마력, 13.5 토크의 상승입니다.

 

 

 

 

stage1 의 튜닝은 총 21개 정도의 맵을 변형시켜주는데.. 여기서는 주요한것 6개만 올려보겠습니다..

 

 

1. 연료

 

# 순정 연료맵

 

 

# st 1  연료맵

 

 

위의 그림에서 진한 직사각형으로 표시돤곳이 close loop 구간입니다.. 학습구간이죠.. 자세한건 튜닝방 참고..

 

위 그림에서 1.00 은 이상적 공연비인 14.7 : 1 을 의미합니다.  공기 14.7 & 연료 1 이 혼합

 

참고로 stage 1 맵 오른쪽 제일 위의 숫자 1.46 의 의미는 14.7 / 1.46 = 10.068 .. 즉, 공기 10.068 & 연료 1의 혼합

 

따라서, 단위공기당 연료가 많이 들어간다는 의미입니다..  자세한건 튜닝방 참조..

 

stage1 에서는 흡입되는 공기량에 맞게 혼합비를 조정해 줍니다..  고알피엠에서는 연료를 많이 넣어 노킹방지..

 

 

 

 

 

2. 공기량

 

 # 순정맵

 

 

#  st 1 맵

 

 

 

알피엠에 따른 최대허용 공기량을 설정합니다.. 전체적으로는 st1 에서 공기를 많이 넣어 줍니다..

 

참고로 해야될 부분은 위에 정해둔 숫자도 나중에 나올 한계설정에 따라 달라집니다

 

# 순정맵의 경우 공량 최대치가 1030 이지만 실제 사용은 743 만큼 사용하게 됩니다.

 

 

 

 

3. 부스트 설정

 

 # 순정맵

 

 

# st1 맵

 

 

APC 에 들어가는 신호를 달리하여 부스트압을 올린다.

 

위의 숫자는 알피엠과 공기량의 매트릭스 사이에서 APC의 W 호스를 통해 얼마만큼의 공기를 넣어 엑추에이터를

 

열게하는가를 정한것이다..  참고로 50 => 50%의 진공압을 R호스로 bypass 시키는 반면 70은 70%의 진공압을

 

bypass 시킨다.. 숫자가 높을수록 bypass 시키는 량이 많아 엑추에이터로는 압이 작게 들어간다..

 

따라서 작은 압력으로 인해 엑추에이터 로드를 미는 힘이 약해서 엑추에이터의 스프링을 밀지 못하면 터보의

 

배기하우징에 연결된 로드가 움직이지 않고, 이로 인해 배기는 배기 임팰러를 돌리는데 모두 사용된다..

 

따라서 stage1 에서는 APC에서 엑추에이터로 들어가는 공기량(압)을 줄여 부스트를 더 높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 위 그림에서는 st1 맵 오른쪽을 보면 순정맵 보다 숫자를 올린것을 볼 수 있다.

 

=> 자세한건 튜닝방 참조

 

 

 

 

4. 페달포지션

 

# 순정맵

 

 

# st 1 맵

 

페달포지션 (밟는정도) 와 RPM 에 따른 공기량의 설정이다.

 

위 공기량과 마찬가지로 여러개의 맵 설정에 따라 위의 숫자를 정확히 사용하진 않지만 최대 허용량을 설정한다.

 

st1 맵에서는 동일한 패달압력, RPM 구간에 공기량이 더 많이 들어가도록 조정하였다..

 

 

 

 

5. 토크

 

 # 순정맵

 

 

# st1 맵

 

 

RPM 과 토크(NM)에 따른 공기량과의 관계그래프이다..순정보다 공기량을 더 많이 넣어 줌..

 

토크관련은 튜닝방을 참조하시길

 

 

 

 

 

6. 스피드 리밋

 

 # 순정맵

 

 

# st1 맵

 

 

스피드 리밋을 240 km/h 에서  ....   st1 은 270 km/h 로 올림

 

 

 

==============================================================================================================

 

 

총 20여곳의 맵조정 중 주요한 6개만 설명하였다..

 

다음은 st1의 맵핑 후 airmass result 가 어떻게 되었는지 보자.. (튜닝 program 상의 추론 결과임)

 

 

1. airmass

 

 # 순정맵

 

 

# st1 맵

 

 

 

페달포지션과 RPM에 따른 최대 공기량 설정의 결과이다..

 

위에 공기맵, 패달맵 등등에 설정된 숫자와는 다른 숫자가 보이겠지만 이는 다른 여러 맵에서 리미트 설정을 해서 리미트에

 

맞는 숫자가 위의 결과맵에 숫자로 표시된다.  리미트 설정은 개인적으로 질문하시길 ㅎ

 

 

위 순정맵을 보면  2020rpm , 풀악셀 (100) 일때 774 mg/c 의 최대 공기량이 들어간다.

 

st1 에서는 2400rpm ~ 3540rpm 구간에서 풀악셀 (패달포지션 100) 일때 1095 mg/c로 순정대비 약 41.5%의 공기량이

 

더 들어가도록 조정하였다.

 

 

 

 

 

2. dyno graph

 

  # 순정맵

 

 

# st1 맵

 

 

 

순정맵과 새로작업한 stage1 맵의 출력 비교 그래프이다..  토크는 NM으로 계산되어 있는데 10으로 나누면 kg/m 정도 됨..

 

stage1은 230 마력 , 35.3 토크 정도로 세팅되었음..  (순정 150마력, 24.5토크)

 

 

 

 

 

위 순정 다이노(trionoc 계산에 의한)와  st1의 토크, 마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RPM에 따른 숫자를 비교해 보시길..

 

 

 

 

3. compressor map

 

 # 순정맵

 

 

# st1 맵

 

 

compressor map은 터보의 효율성에 관한 맵이다.  중심으로 갈수록 효율이 높아진다.

 

제일 중심쪽 원 안이 78%의 효율, 두번째가 77% 등등 .. 06년 9-5 리니어의 터보챠저는 garette GT1752. 0.53A/R 이다.

 

위 그래프는 초록색선을 보면됨 .. 점 하나하나가 위 airmass RPM 구간임. 맨왼쪽점=700rpm, 왼쪽두번째=880rpm 등등

 

순정 comp. map을 보면 왼쪽에서 9번째점 (3540rpm 구간)만 77% 효율성 끝자락에 있고 나머지는 그이하에 위치한다

 

그러나 stage1 comp. map을 보면 왼쪽 8번째 ~ 11번째 점 (3160rpm ~ 4300rpm) 이 효율성 77%~78% 구간에 있어

 

터보 효율이 높은 구간을 잘 사용하게 됨  .. 터보 compressor map 관련은 튜닝방 참조

 

 

 

=========================================================================================================

 

 

출력을 높이는 것은 공기량을 얼마나 많이 가지고 가는가에 달려 있다..

 

1. stage1 : 순정하드웨어가 가진 잠재력을 최대한 안정적으로 끌어내는 것이다..

 

 

2. stage2 : stage1보다 공기량을 더 사용하도록(출력을 올리도록) ECU 맵핑을 하기 때문에 공기를 조금 더

 

잘 끌어당기도록 스포츠 필터를 흡기쪽에 장착하고 출력이 높아진 정도 만큼 배기가 늘어나기 때문에 스포츠 배기를

 

장착해야 한다.

 

 

3. stage3 : stage2 보다 출력을 올리기 위해 ECU를 수정하여 공기량을 증가시키고 이에따른 추가배기의 원할한

 

배출을 위해 3인치 다운파이프와 스포츠촉매를 추가한다..

 

 

stage 4 이상에서는 터보의교체, 연료압래귤레이터, 인터쿨러, 인젝터 등 출력에 맞는 하드웨어 구성을 해야한다..

 

 

# 출력에 맞는 구성은 반드시 흡기와 배기의 밸런스를 맞춰야 한다.. stage에 맞지 않는 묻지마 하드웨어 장착은

 

터보 및, 엔진사망을 결과를 초래한다. 최소 stage3 이상의 튜닝은 순정품, 전문튜닝회사에서 권장하는 하드웨어를

 

사용해야만 한다..  호환되는 터보, 산소센서 기타 등등의 비 순정품(특히 중국) 또는 괜찮더라는 말만 듣고 고알피엠

 

고부스트를 사용할때는 반드시 문제가 생김을 명심하기 바라며....

 

 

기타 조금 구체적 내용은 SAAB 자료실의 ...  SAAB 정보/튜닝 을 보시면 됩니다..

출처 : 사브오너스클럽
글쓴이 : 최봉영[마산]유진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