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정상태에서 엑추에이터 로드 조절을 통해 부스트를 올리면 공기량이 많아짐에 따라 순정이씨유에서 세팅된
연료량으로는 공연비가 희박해집니다.. 따라서 공연비의 희박으로 인해 엔진과열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순정상태에서는 1 psi 정도 [두바퀴 돌려 로드를 짧게함] 조절은 큰 무리가 없을 것 같습니다..
1 psi = 0.07 bar
# 9000 & 900 stage 1 ~ 3 으로 멥핑 된 경우
9000, 900 에 대한 튜닝은 스테이지 1 & 2 의 경우 점화시기와 연료량 조절로 맵핑을 하기 때문에
부스트의 향상은 제한적이다.
따라서 엑추에이터 로드의 길이를 짧게해서 베이스부스트값을 올려야 부스트 값이 오른다..
- 순 서 -
1. 먼저 인터쿨러의 연결된 부위의 클램프를 단단히 조인다. [중요.. 내경우 이것때문에 엔진 내림]
=> 부스트 [공기압력] 가 강해지면 인터쿨러 체결부위의 호스를 단단히 하지 않으면 호스가 빠지게 됨
2. 진공호스를 실리콘호스로 모두바꾼다..[가장중요]
=> 순정 : 내경 3.5mm .. 3.5 mm 가 없으면 3mm 또는 4mm를 사용해도 되는데.. 압을 많이 받는 곳은
타이로 단단하게 묶을 것.
3. 베이스부스트값을 올린다 [순정 : 5 psi 정도 . 1 & 2 단계 : 6 psi, 3단계 : 7 psi 로 조절할것]
=> 순정엑추에이터가 약해서 공기압을 유지키 힘들기 때문에 엑츄에이터 로드 조절로 베이스부스트를 올려야 함
4. 스파크플러그는 새것으로 교환한다.. NGK bcpr 7es-11 을 사용하되 갭은 0.88~0.9 mm 로 조절해서 장착
=> 튜닝 후에는 풀트로틀을 자주 사용할 때에는 5000km ~ 6000 km 마다 교환해주어야 함..
일반적인 주행만 할때는 8000 ~ 10,000km 에서 교환
=> 갭조절을 할때는 중앙에 있는 전극을 다치지 않도록 주의 할 것
# 베이스 부스트 체크방법 및 조절방법 [추천]
- bpc 로 연결된 전기연결을 unplugging 한다
- unplug 된 상태로 주행하여 풀악셀할때 나오는 부스트압이 조절전의 순정 베이스부스트 값이다.
[부스트게이지나 다이어게이지가 있어야 됨]
- 베이스부스트를 올리기 위해서는 엑추에이터 로드를 짧게 조절해서 위와 같은 주행테스트를 통해 베이스부스트가
6 ~ 7 psi 정도 [stage 1 ~ 3 에 맞게] 나오면 plug 하여 전기를 다시 연결
# 아주 정확하지는 않지만 손쉬운 베이스부스트 조절방법
- 배기하우징에 연결된 엑추에이터 로드를 스프링을 제게해 빼 내어서 로드가 짥게 되도록 조절.
- 한바퀴 완전히 돌릴 때 0.5 psi 만큼 조절 됨..
- 따라서 순정 5 psi 에서 6 psi [1 or 2 단계에 맞게] 로 조절하려면 두바퀴 완전히 돌려서 다시 핀에 꼽으면 됨
=> 약하면 반바퀴정도 더 돌려도 무방
* 베이스부스트를 올리기 돌리는 방향은 엑추에이터 로드가 짧게 되는 쪽 [내 기억엔 시계 방향 <= 확인 필요]
# 참고 하세요..
엑추에이터 로드조절하기 위해 스프링을 뺄때 스프링이 도망가지 않도록 각별히 유념하시고..
제일 좋은 것은 진공압력기를 엑추에이터 구멍에 꼽아 공기를 밀어 넣으며 몇 psi 일때 엑츄에이터 로드가 움직여
배기하우징쪽을 열어주는지를 체크하는 것입니다..
'SAAB'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Re:02년과 03년식 9-5 aero 차이가 어느정도인지 궁금해요~ (0) | 2011.08.22 |
---|---|
[스크랩] SID 정보 보는 방법 (0) | 2011.08.19 |
[스크랩] software .. ECU 에 넣기 (0) | 2011.06.29 |
[스크랩] 아래 너무진한 공연비에 대한 문제에 곁들여... backfire (역화) 원인.. (0) | 2011.05.25 |
[스크랩] 새신을 신고 한컷 (0) | 2011.05.15 |